마하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하 수는 유체 속도와 음속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량으로, 항공 엔지니어 야코프 아케레트의 제안으로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의 업적을 기려 명명되었다. 마하 수는 유동장의 압축성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0.3 이상의 마하 수에서는 압축성을 고려해야 한다. 마하 수에 따라 유동장은 아음속, 천음속, 초음속, 극초음속 및 재진입 속도로 분류되며, 각 영역은 항공기의 특징과 비행 속도에 따라 구분된다. 마하 수는 비행 속도와 음속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비행기에서는 마하미터를 사용하여 공기 압축성의 영향을 측정하고 비행 제어에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기속도 - 극초음속 비행
극초음속 비행은 음속의 5배 이상으로 비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극초음속 무기 개발 경쟁과 함께 고온 효과, 저밀도 흐름 등의 물리적 현상을 고려한 설계 및 추진 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이고 군사 및 민간 분야에 응용될 잠재력을 가진 기술이다. - 속도의 단위 - 음속
음속은 소리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속도로, 매질의 탄성 계수와 밀도에 따라 달라지며, 고체, 액체, 기체 순으로 빠르고, 특히 기체는 비열비, 평균 분자량, 온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속도의 단위 - 미터 매 초
미터 매 초(m/s)는 1초 동안 1미터를 이동하는 속력의 단위로, 국제단위계(SI)에서 속도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이며, 3.6 km/h, 약 3.2808 피트/초, 약 2.2369 마일/시, 약 1.9438 노트와 같다. - 무차원 수 - 레이놀즈 수
레이놀즈 수는 유체 흐름에서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로, 유체의 밀도, 속도, 특성 길이, 점성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흐름의 종류를 예측하고 유체 시스템 설계 및 분석에 활용된다. - 무차원 수 - 무차원량
무차원량은 물리량의 차원이 1인 값으로, 동일 종류 물리량의 비율이나 물리 상수 정규화로 얻어지며, 물리 법칙의 단위계 독립성을 나타내는 버킹엄 π 정리에 의해 중요성이 강조되고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마하 수 | |
---|---|
개요 | |
정의 | 유체가 이동하는 물체의 속도(u)와 해당 유체 내에서 소리의 속도(c)의 비율 |
기호 | M, Ma |
수식 | |
활용 | |
적용 분야 | 고속 항공기, 탄도, 유체 역학 등 압축성 효과가 중요한 흐름에서 사용 |
중요성 | 흐름의 거동을 특징짓는 무차원 수 |
속도 영역 | |
아음속 | M < 1 (마하 수 1 미만) |
천음속 | M ≈ 1 (마하 수 1에 근접) |
초음속 | M > 1 (마하 수 1 초과) |
고초음속 | M >> 1 (마하 수 1보다 훨씬 큼) |
역사 | |
명명 유래 | 에른스트 마하(Ernst Mach)의 이름에서 유래 |
관련 과학자 | 야코프 아케레트(Jakob Ackeret) |
2. 어원
마하 수는 1929년 항공 엔지니어 야코프 아케레트의 제안에 따라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에른스트 마흐의 업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마흐라는 단어는 고유명사에서 유래되었으므로 항상 대문자로 표기하며, 마하 수는 단위가 아닌 무차원량이기에 숫자 다음에 온다. 1942년 록히드는 P-38 항공기의 압축성 효과를 보고하면서 '마흐의 수'라고 부르기도 했다.[5]
3. 정의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유체(공기)는 다른 변수와 관계없이 주어진 마하 수에서 압축성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6]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의 건조 공기는 표준 온도 15°C에서 음속이 340.3m/s이다.[7] 음속은 일정한 값이 아니다. 기체에서 음속은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대기 온도는 일반적으로 해수면에서 11000m 사이의 고도에서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음속도 감소한다. 예를 들어, 표준 대기 모델은 11000m 고도에서 온도를 -56.5°C로 감소시키며, 이에 해당하는 음속(마하 1)은 로, 해수면 값의 86.7%이다.
마하 수 는 유체의 상대 속도를 , 음속을 라고 할 때,
:
로 구할 수 있다.
4. 물리적 의미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유체(공기)는 다른 변수와 관계없이 주어진 마하 수에서 압축성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6]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의 건조 공기는 표준 온도 15°C에서 음속이 340.3m/s이다.[7] 음속은 일정한 값이 아니다. 기체에서 음속은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대기 온도는 일반적으로 해수면에서 11000m 고도까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음속도 감소한다. 예를 들어, 표준 대기 모델은 11000m 고도에서 온도를 -56.5°C로 감소시키며, 이에 해당하는 음속(마하 1)은 로, 해수면 값의 86.7%이다.
마하 수는 유동장의 관성력과 탄성력(유동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의 비, 즉 유동장에서의 압축성 영향의 정도를 나타내며,[9] 마하 수가 클수록 압축성의 영향이 증대된다. 이로부터 마하 수는 다음과 같은 물리적 의미를 가진다.
5. 마하 수에 따른 유동장 분류
마하 수는 유동장 내 압축성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마하 수에 따라 유동장의 특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다음과 같이 유동장을 분류한다.
- 아음속 유동 (subsonic flow영어): 모든 유동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보다 느린 경우이다. 대략 마하 0.7-0.8 미만이다.
- 천음속 유동 (transonic flow영어): 유동의 일부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충격파가 발생하며, 대략 마하 0.7-0.8에서 1.2-1.25 사이이다. 유동장의 최대 마하 수가 1이 되는 상태를 임계 상태, 이때의 마하 수를 '''임계 마하수'''라고 한다.[9]
- 초음속 유동 (supersonic flow영어): 모든 유동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충격파가 전 영역에 걸쳐 발생하며, 초음속 전투기나 수퍼크루즈기 주변의 유동이 이에 해당한다. 대략 마하 1.2-1.25에서 5 사이이다.
- 극초음속 유동 (hypersonic flow영어): 유속이 전반적으로 음속을 현저하게 초과하는 경우이다. 마하 5 이상에서는 단열 압축으로 인해 매우 심한 발열이 발생하여 유체가 전리되거나 플라스마화된다. 일부 실험기나 대기권 통과 시의 로켓 주변 유동이 이에 해당한다.
5. 1. 아음속 유동 (Subsonic flow)
아음속 유동(Subsonic flow)은 모든 유동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에 미치지 못하는 유동장을 말한다. 물체의 형상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마하 수가 0.7-0.8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9]
"아음속" 및 "초음속"이라는 용어는 국소 음속 이하 및 초과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마하 값 범위를 나타낸다. 이는 비행 (자유 흐름) 마하 1 부근의 "천음속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여기서 아음속 설계를 위해 사용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근사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설명은 항공기 프레임 주위의 흐름이 자유 흐름 마하 수가 이 값보다 낮더라도 국소적으로 마하 1을 초과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아음속 속도 범위는 항공기 전체의 기류가 마하 1 미만인 속도 범위이다. 임계 마하수(Mcrit)는 항공기 어느 부분의 기류가 처음으로 마하 1에 도달하는 가장 낮은 자유 흐름 마하 수이다. 따라서 아음속 속도 범위는 Mcrit보다 작은 모든 속도를 포함한다.
영역 | 마하 | 일반적인 항공기 특징 |
---|---|---|
아음속 | <0.8 | 대부분 프로펠러 구동 방식과 높은 종횡비를 가진 상업용 터보팬 항공기, 노즈 및 앞전과 같은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다. |
5. 2. 천음속 유동 (Transonic flow)
천음속 유동은 항공기 주변의 공기 흐름이 부분적으로는 음속보다 느린 아음속이고, 부분적으로는 음속보다 빠른 초음속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항공기가 임계 마하수(일반적으로 마하 0.8 근처)에 도달했을 때 발생하며, 항공기 날개 윗면과 같이 특정 부분에서 공기 흐름이 가속되어 국소적으로 마하 1을 초과하면서 시작된다.[9]'''그림 1.''' 익형 주위의 천음속 기류에서의 마하 수; M < 1 (a) 및 M > 1 (b).
천음속 영역에서는 아음속과 초음속 흐름이 혼재되어 복잡한 유동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초음속 흐름 영역에서는 충격파가 발생한다. 이 충격파는 공기 흐름을 급격하게 감속시키고 압력, 온도, 밀도를 증가시킨다. 항공기가 마하 1에 가까워질수록 충격파는 점차 항공기 후방으로 이동하며, 마하 1을 넘어서면 항공기 앞부분에 새로운 충격파가 형성된다.[9]
천음속 항공기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후퇴익을 채택하여 항력 발생을 지연시키고, 면적 규칙에 따라 동체 단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충격파 발생을 줄인다.
천음속 유동은 아음속 유동(모든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 미만)과 초음속 유동(모든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 초과) 사이의 전이 영역으로, 대략 마하 0.8에서 1.2 사이에서 발생한다.
영역 | 마하 | 일반적인 항공기 특징 |
---|---|---|
아음속 | <0.8 | 대부분 프로펠러 구동 방식과 높은 종횡비를 가진 상업용 터보팬 항공기, 둥근 노즈 및 앞전 |
천음속 | 0.8–1.2 | 후퇴익을 채택하여 항력 발산을 지연시키고, 종종 Whitcomb 면적 규칙의 원칙을 따르는 설계 |
초음속 | 1.2–5.0 | 날카로운 모서리, 얇은 익형 단면, 가변적 수평 미익/캐너드 |
극초음속 | 5.0–10.0 | 냉각된 니켈-티타늄 외피, 고도로 통합된 작은 날개 |
고-극초음속 | 10.0–25.0 | 열 제어가 주요 설계 고려 사항, 특수 규산염 타일, 둔한 형상 |
재진입 속도 | >25.0 | 절삭식 열 보호막, 작은 날개 또는 날개 없음, 둔한 형태 |
5. 3. 초음속 유동 (Supersonic flow)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유체(공기)는 다른 변수와 관계없이 주어진 마하 수에서 압축성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6]"아음속" 및 "초음속"이라는 용어는 국소 음속 이하 및 초과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마하 값 범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NASA는 "고" 극초음속을 마하 10에서 25 사이의 모든 마하 수로 정의하고, 재진입 속도를 마하 25보다 큰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이 영역에서 운용되는 항공기에는 우주왕복선과 개발 중인 다양한 우주 비행기가 있다.
영역 | 비행 속도 | 일반적인 항공기 특징 | ||||
---|---|---|---|---|---|---|
(마하) | (노트) | (mph) | (km/h) | (m/s) | ||
초음속 | 1.2–5.0 | 794–3,308 | 915–3,806 | 1,470–6,126 | 410–1,702 | 초음속 속도 범위는 항공기 전체의 기류가 초음속(마하 1 이상)인 속도 범위이다. 그러나 앞전에 도달하는 기류는 처음에 감속되므로 항공기 전체의 흐름이 초음속이 되도록 자유 흐름 속도는 마하 1보다 약간 커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음속 속도 범위는 마하 1.3보다 큰 자유 흐름 속도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초음속으로 비행하도록 설계된 항공기는 마하 1 이상에서의 흐름의 급격한 차이로 인해 공기역학적 설계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날카로운 모서리, 얇은 익형 단면, 그리고 가변적 수평 미익/캐너드는 일반적이다. 현대적인 전투기는 저속 핸들링을 유지하기 위해 타협해야 한다. |
완전한 초음속 속도에서는 충격파가 원뿔 모양을 띠기 시작하고 유동은 완전히 초음속이거나 (둔한 물체의 경우) 물체의 노즈와 물체가 앞에 생성하는 충격파 사이에 매우 작은 아음속 유동 영역만 남게 된다. (날카로운 물체의 경우 노즈와 충격파 사이에 공기가 없으며, 충격파는 노즈에서 시작된다.)
마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충격파의 강도도 증가하고 마하 콘은 점점 좁아진다. 유체 흐름이 충격파를 통과하면 속도가 감소하고 온도, 압력 및 밀도가 증가한다. 충격파가 강할수록 변화가 커진다.
; 초음속 유동 (supersonic flow영어)
: 모든 유동 영역에서 유속이 음속을 초과하는 유동장. 충격파가 전역에 발생한다. 초음속 전투기나 수퍼크루즈기 주변의 유동이 이에 해당한다. 대략 1.2-1.25 < ''Ma'' < 5 이다.
5. 4. 극초음속 유동 (Hypersonic flow)
마하 수가 극초음속 영역(일반적으로 마하 5 이상)에 도달하면, 유체 흐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매우 높은 속도: 유속이 전반적으로 음속을 훨씬 초과한다.
- 단열 압축으로 인한 극심한 발열: 공기가 압축되면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공기 분자가 전리되거나 플라스즈마 상태가 된다. 이는 실제 기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 충격파 후면의 고온: 극초음속으로 이동하는 물체는 기체와 동일한 극한 온도에 노출되므로, 내열 재료 선택이 중요해진다.
- 화학 반응: 충분히 높은 마하 수에서는 충격파를 지나면서 온도가 너무 증가하여, 충격파 뒤의 기체 분자들이 이온화되거나 해리되기 시작한다.
NASA는 일반적으로 "고(高) 극초음속"을 마하 10에서 25 사이로 정의하며, 재진입 속도는 마하 25보다 큰 경우로 정의한다. 이 영역에서 운용되는 항공기에는 우주왕복선과 개발 중인 다양한 우주 비행기가 있다.
극초음속 설계는 공기역학적 가열이 곡률 반지름이 작을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종종 둔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자유 원자 산소가 매우 빠른 속도의 흐름에 나타나면서, 차량 외피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마하 6.72로 비행한 X-15는 가장 빠른 유인 항공기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항공기는 냉각된 니켈-티타늄 외피를 가졌으며, 고도로 통합된 작은 날개를 특징으로 한다. 마하 5로 비행하는 X-51A 웨이버이더도 극초음속 항공기의 예시이다. 마하 9.6으로 비행하는 NASA X-43은 가장 빠른 항공기 중 하나이며, 열 제어가 주요 설계 고려 사항이다. 러시아의 아반가르드는 마하 27까지 도달한다고 주장한다.
6. 고속 유동에서의 특징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의 건조 공기는 표준 온도 15°C에서 음속이 340.3m/s이다.[7] 음속은 기체에서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일정하지 않다.
채널 내 유동이 초음속이 되면, 질량 유량 보존 법칙에 따라 예상되는 것과는 다른 현상이 발생한다. 아음속에서는 채널이 좁아지면 속도가 빨라지지만, 초음속에서는 채널을 확장해야 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유동을 초음속으로 가속하려면 드 라발 노즐과 같은 수렴-발산 노즐이 필요하다. 이 노즐은 수렴 단면에서 유동을 음속으로 가속하고, 발산 단면에서 가속을 계속하여 극초음속 (20°C에서 마하 13)까지 도달하게 한다.
6. 1. 물체 주위의 고속 유동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유체(공기)는 다른 변수와 관계없이 주어진 마하 수에서 압축성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6]
"아음속" 및 "초음속"이라는 용어는 국소 음속 이하 및 초과 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마하 값 범위를 나타낸다. 비행 (자유 흐름) M = 1 부근에는 "천음속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영역에서는 아음속 설계를 위해 사용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근사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항공기 프레임 주위의 흐름이 자유 흐름 마하 수가 이 값보다 낮더라도 국소적으로 M = 1을 초과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초음속 영역"은 일반적으로 선형화된 이론을 사용할 수 있는 마하 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기) 흐름이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공기와 차량 간의 열 전달을 계산에서 합리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경우이다.
NASA는 "고" 극초음속을 마하 10에서 25 사이로 정의하고, 재진입 속도를 마하 25보다 큰 경우로 정의한다. 이 영역에서 운용되는 항공기에는 우주왕복선과 개발 중인 다양한 우주 비행기가 있다.
영역 | 비행 속도 | 일반적인 항공기 특징 | ||||
---|---|---|---|---|---|---|
(마하) | (노트) | (mph) | (km/h) | (m/s) | ||
아음속 | <0.8 | <530 | <609 | <980 | <273 | 대부분 프로펠러 구동 방식과 높은 종횡비를 가진 상업용 터보팬 항공기이며, 노즈 및 앞전과 같은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음속 속도 범위는 항공기 전체의 기류가 마하 1 미만인 속도 범위이다. 임계 마하 수(Mcrit)는 항공기 어느 부분의 기류가 처음으로 마하 1에 도달하는 가장 낮은 자유 흐름 마하 수이다. 따라서 아음속 속도 범위는 Mcrit보다 작은 모든 속도를 포함한다. |
천음속 | 0.8–1.2 | 530–794 | 609–914 | 980–1,470 | 273–409 | 천음속 항공기는 거의 항상 후퇴익을 가지고 있어 항력 발산을 지연시키고, 종종 Whitcomb 면적 규칙의 원칙을 따르는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천음속 속도 범위는 항공기의 다양한 부분에서 기류가 아음속과 초음속 사이인 속도 범위이다. 따라서 Mcrit에서 마하 1.3까지의 비행 영역을 천음속 범위라고 한다. |
초음속 | 1.2–5.0 | 794–3,308 | 915–3,806 | 1,470–6,126 | 410–1,702 | 초음속 속도 범위는 항공기 전체의 기류가 초음속(마하 1 이상)인 속도 범위이다. 그러나 앞전에 도달하는 기류는 처음에 감속되므로 항공기 전체의 흐름이 초음속이 되도록 자유 흐름 속도는 마하 1보다 약간 커야 한다. 일반적으로 초음속 속도 범위는 마하 1.3보다 큰 자유 흐름 속도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초음속으로 비행하도록 설계된 항공기는 마하 1 이상에서의 흐름의 급격한 차이로 인해 공기역학적 설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날카로운 모서리, 얇은 익형 단면, 그리고 가변적 수평 미익/캐너드는 일반적이다. 현대적인 전투기는 저속 핸들링을 유지하기 위해 타협해야 한다. |
극초음속 | 5.0–10.0 | 3,308–6,615 | 3,806–7,680 | 6,126–12,251 | 1,702–3,403 | 마하 6.72의 X-15는 가장 빠른 유인 항공기 중 하나이다. 냉각된 니켈-티타늄 외피를 가지고 있으며, 고도로 통합되어 있다. (간섭 효과의 지배로 인해: 비선형적 거동은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결과의 중첩이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마하 5 X-51A 웨이버이더와 같은 작은 날개를 가진다. |
고-극초음속 | 10.0–25.0 | 6,615–16,537 | 7,680–19,031 | 12,251–30,626 | 3,403–8,508 | 마하 9.6의 NASA X-43은 가장 빠른 항공기 중 하나이다. 열 제어가 주요 설계 고려 사항이 된다. 구조는 뜨겁게 작동하도록 설계되거나 특수 규산염 타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흐름은 또한 자유 원자 산소가 매우 고속 흐름에 나타나면서 차량의 외피 부식을 유발할 수 있다. 극초음속 설계는 공기역학적 가열이 감소된 곡률 반지름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종종 둔한 형상으로 강제된다. |
재진입 속도 | >25.0 | >16,537 | >19,031 | >30,626 | >8,508 | 절삭식 열 보호막을 사용하며, 날개가 작거나 없다. 둔한 형태를 가진다. 러시아의 아반가르드는 마하 27까지 도달한다고 주장한다. |
비행은 대략 6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천음속 속도에서는 물체 주위의 유동장(flow field)에 아음속 부분과 초음속 부분이 모두 포함된다. 천음속 구간은 물체 주위에 M > 1의 유동 영역이 처음 나타날 때 시작된다. 익형 (예: 항공기 날개)의 경우, 일반적으로 날개 위에서 발생한다. 초음속 유동은 수직 충격파에서만 아음속으로 감속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후연(trailing edge) 앞에서 발생한다. (그림 1a)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 > 1 유동 영역은 앞전(leading edge)과 후연 모두를 향해 증가한다. M = 1에 도달하고 이를 지나면 수직 충격파는 후연에 도달하여 약한 경사 충격파가 된다. 유동은 충격파 위에서 감속되지만 초음속 상태를 유지한다. 물체 앞에 수직 충격파가 생성되고, 유동장에서 아음속 영역은 물체의 앞전 주변의 작은 영역뿐이다. (그림 1b)
'''그림 1.''' 익형 주위의 천음속 기류에서의 마하 수; M < 1 (a) 및 M > 1 (b).
항공기가 마하 1 (즉, 음속 장벽)을 초과하면 항공기 바로 앞에 큰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이 급격한 압력 차이를 충격파라고 하며, 항공기에서 원뿔 모양으로 뒤쪽과 바깥쪽으로 퍼진다 (소위 마하 콘). 이 충격파가 고속으로 움직이는 항공기가 머리 위로 이동할 때 들리는 음속 폭음을 일으킨다. 항공기 내부의 사람은 이것을 들을 수 없다. 속도가 높을수록 원뿔이 좁아지며, M = 1을 약간 넘으면 원뿔이라기보다는 약간 오목한 평면에 가깝다.
완전한 초음속 속도에서는 충격파가 원뿔 모양을 띠기 시작하고 유동은 완전히 초음속이거나 (둔한 물체의 경우) 물체의 노즈와 물체가 앞에 생성하는 충격파 사이에 매우 작은 아음속 유동 영역만 남게 된다. (날카로운 물체의 경우 노즈와 충격파 사이에 공기가 없으며, 충격파는 노즈에서 시작된다.)
마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충격파의 강도도 증가하고 마하 콘은 점점 좁아진다. 유체 흐름이 충격파를 통과하면 속도가 감소하고 온도, 압력 및 밀도가 증가한다. 충격파가 강할수록 변화가 커진다. 충분히 높은 마하 수에서는 충격파를 지나면서 온도가 너무 많이 증가하여 충격파 뒤의 기체 분자의 이온화 및 해리가 시작된다. 이러한 흐름을 극초음속이라고 한다.
극초음속 속도로 이동하는 모든 물체는 마찬가지로 노즈 충격파 뒤의 가스와 동일한 극한 온도에 노출되므로 내열 재료의 선택이 중요해진다.
6. 2. 채널 내 고속 유동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의 건조 공기는 표준 온도 15°C에서 음속이 340.3m/s이다.[7] 음속은 일정한 값이 아니다. 기체에서 음속은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한다.채널 내 유동이 초음속이 되면, 한 가지 중요한 변화가 발생한다. 질량 유량 보존은 유동 채널을 수축시키면 유동 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즉, 채널을 좁게 만들면 공기 유동이 빨라진다). 아음속 속도에서는 이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동이 초음속이 되면 유동 면적과 속도의 관계가 반전된다. 즉, 채널을 확장하면 실제로 속도가 증가한다.
명백한 결과는 유동을 초음속으로 가속하기 위해서는 수렴-발산 노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수렴 단면은 유동을 음속 속도로 가속하고, 발산 단면은 가속을 계속한다. 이러한 노즐을 드 라발 노즐이라고 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극초음속 속도(20°C에서 마하 13)에 도달할 수 있다.
7. 마하 수 계산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에서 건조 공기의 음속은 15°C에서 340.3m/s이다.[7] 음속은 고도에 따라 변하며, 특히 성층권과 열권에서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한다.
마하 수는 움직이는 항공기의 속도(''u'')와 주어진 고도에서의 음속(''c'')의 비율로 계산된다.
:
음속은 열역학적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변화하며,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음속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마하 수 1.0 미만의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파생된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마하 수를 결정할 수 있다.[8]
:
여기서,
- ''qc''는 충격 압력 (동압)
- ''p''는 정압
- 는 기체의 비열비이다.
초음속 압축성 흐름에서 마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레일리 수 초음속 피토 방정식에서 파생된다.
:
마하 수는 온도와 대기 속도의 함수이지만, 항공기 비행 계기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마하 수를 계산한다.
7. 1. 일반적인 계산
마하 수는 유체 흐름의 압축성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유체(공기)는 주어진 마하 수에서 압축성의 영향을 받아 유사하게 작동한다.[6] 국제 표준 대기에 따르면, 평균 해수면의 건조 공기는 표준 온도 15°C에서 음속이 340.3m/s이다.[7] 음속은 일정하지 않으며, 기체에서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대기 온도는 해수면에서 11000m 고도까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음속도 감소한다. 예를 들어, 표준 대기 모델에서 11000m 고도의 온도는 -56.5°C이고, 이때 음속(마하 1)은 로 해수면 값의 86.7%이다.
항공기의 마하 수는 음속이 알려져 있을 때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음속은 열역학적 온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한다.
:
음속을 모르는 경우, 마하 수는 공기 압력(정압, 동압)을 측정하고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파생된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단, 마하 수 1.0 미만, 공기는 이상 기체):[8]
:
- ''qc'': 충격 압력 (동압)
- ''p'': 정압
- : 기체의 비열비 (공기는 1.4)
초음속 흐름에서 마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레일리 수 초음속 피토 방정식에서 파생된다.
:
고속 비행기는 대기 속도와 별도로 마하미터로 비행 마하 수를 측정하여 공기 압축성의 영향을 고려하고 비행 제어에 사용한다. 마하 계측기는 압축성 영향을 측정하는 계측기이며, 대기 속도를 해면상 음속으로 나눈 것이 아니다.
음속은 절대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지상 실험에서는 이 차이가 크지 않지만, 제트기 순항 고도인 대류권 상부- 성층권 하부에서는 약 300m/s로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비행 마하 수를 340 m/s로 환산하는 것은 고고도에서 부정확하다. 11000m 이상 고도에서는 1062km/h가 기준이다.[10]
7. 2. 피토관 압력을 이용한 계산
항공기 비행 계기는 온도가 아닌 압력 차이를 사용하여 마하 수를 계산한다.공기를 이상 기체라고 가정하면, 아음속 압축성 흐름에서 마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찾을 수 있다:[8]
:
초음속 압축성 흐름에서 마하 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공기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레일리 초음속 피토 방정식에서 찾을 수 있다.
:
여기서:
- ''qc''는 수직 충격파 뒤에서 측정된 동압이다.
위 식에서 볼 수 있듯이, M은 방정식의 양쪽에 나타나며, 실제로는 수치 해를 구하기 위해 근 찾기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이 방정식은 M2에 대한 7차 방정식이며, 이들 중 일부는 명시적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아벨-루피니 정리는 이러한 다항식의 근에 대한 일반적인 형태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먼저 M이 실제로 1.0보다 큰지 확인하기 위해 아음속 방정식을 사용하여 M을 계산한다. 만약 M이 1.0보다 크다면, 아음속 방정식에서 얻은 M 값을 초음속 방정식의 고정점 반복법에 대한 초기 조건으로 사용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매우 빠르게 수렴한다.[8] 뉴턴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참조
[1]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John Wiley & Sons
2010-12-21
[2]
서적
Engineering Fluid Mechanics
CRC Press
2001-01-19
[3]
백과사전
Ernst Mach
https://www.britanni[...]
2016-01-06
[4]
간행물
Der Luftwiderstand bei sehr großen Geschwindigkeiten. and Jakob Ackert and the History of the Mach Number
Schweizerische Bauzeitung, Annual Review of Fluid Mechanics
[5]
서적
The Lockheed P-38 Lightning
Widewing Publications
[6]
웹사이트
Mach Number
http://www.grc.nasa.[...]
[7]
서적
Aerodynamics
Pitman Publishing London
[8]
보고서
Aircraft Performance Flight Testing
http://www.aviation.[...]
Air Force Flight Test Center, Edwards Air Force Base, California: United States Air Force
[9]
서적
圧縮性流体力学
理工学社
[10]
서적
世界の軍用機完全カタログ 全1587機種
コスミック出版
[11]
웹사이트
90式戦車 の砲弾速度に対し「マッハの世界」という言葉が使われている。
https://www.mhi.com/[...]
2024-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